(서울=NSP통신) 오금석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5일 연 1.25%인 기준금리를 6개월째 동결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앞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과 가계부채 등으로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국내외 상황을 주시할 것이란 분석이 많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기준금리를 0.50∼0.75%로 올리는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래 1년만의 인상이다.

미국은 기준금리 인상 경제지표들 가운데 3분기 경제성장률이 3.2%로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실업률은 4.6%로 9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경기회복을 보여왔다.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당선이후 경제회복의 기대심리도 작용했다. 연준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현실화하고 예상된 노동시장 조건과 물가상승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올리기로 했다”고 인상 배경을 밝혔다.

연준위원들은 또 내년부터 3년 연속 1년에 0.75%포인트씩 즉 1년에 3차례씩 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옐런 의장은 “일부 위원들이 대규모 재정정책 영향을 고려했다”며 “트럼프 정부의 재정 및 경제정책이 경제전망을 바꿀 가능성이 있지만 이 정책들이 어떻게 전망에 영향을 줄지 판단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한은은 그야말로 진퇴양난에 빠졌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가 좁혀져 외국인 자본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 그렇다고 인상하면 국내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 충격이 따를 것이기 때문이다.

대내적으로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가 한은의 통화정책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즉 기준금리를 올리면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져 가뜩이나 얼어붙은 민간소비에 충격을 줄 공산이 크고 기준금리를 내리면 가계부채 증가세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

한은은 일단 이번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자본유출 움직임과 가계부채 증가세, 경기 지표 등 대내외 상황을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경제가 상당히 탄탄해졌기 때문에 이번 인상은 시작일 수 있다”며 “미국 금리가 상승 추세에 접어들었다면 우리나라 금리도 어느 정도는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대출금리는 오르면 올랐지 내리거나 현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은 없다”고 전망했다.

NSP통신/NSP TV 오금석 기자, keum0818@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