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하연 기자 = 정시 비중 확대에 대한 찬반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정시 비중 확대 요구의 배경이 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성 보장, 고교교육 정상화, 대학 신입생의 출신 지역 및 고교 다양성 확보’에 기여한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지만 ‘교사의 평가와 기록에 대한 낮은 신뢰도, 투명하지 않은 대학별 평가기준’이라는 부정적 평가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8월 2020년 대입제도 결정을 위해 진행했던 공론화 과정에서도 국민들이 가장 강력하게 요구했던 부분이 ‘수능 전형 선발인원 확대’였다는 점과 21대 국회의원선거의 도래(2020년 4월), 문재인 대통령 임기 후반기 진입 등은 정부가 국민 여론에 더욱 민감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의미한다.

실제로 정시 비중 확대에 대해서는 여야가 모두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정시 비중을 50% 이상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당론으로 정했고 더불어 민주당 내에서도 정시 확대는 대학 자율의 문제라던 교육공정성강화특별위원회의 기존 입장에서 벗어나 정시 비중 상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추세다.

교육부는 11월 중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을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대입 전형 4년 사전예고제’를 감안하면 해당 내용이 대입 전형에 실질적 적용되는 시점은 2024년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시 비중의 상향 조정이 확실시된다면 제도 적용보다 주가의 리레이팅이 앞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이나예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메가스터디교육, 디지털 대성 등의 고등교육주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 김하연 기자 haaykim@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