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 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올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0.6% 성장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경기 부진이 완화되는 흐름이라고 해석했다. 자동차, 반도체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5일 한은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6%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9% 성장이다.

이와 관련해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한국 경제상황은 불황이라고 보기 보다 부진에서 완화되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반도체 수출 등이 증가한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기 때문에 순수출 개선을 통해 경제 성장을 견인했다고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민간소비는 재화 소비가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으나 서비스(음식, 숙박 등) 소비가 줄면서 0.1% 감소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현물수혜가 줄어 1.9%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3% 감소했고 설비투자 역시 기계류가 늘었으나 운송장비가 줄면서 0.2%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었지만 석유제품, 운수서비스 등이 줄어 1.8% 감소했다. 수입은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4.2% 감소했다.

경제활동별 GDP를 살펴보면 농림어업은 재배업을 중심으로 5.5% 증가했다. 제조업은 컴퓨터·전자기기·광학기기 등이 늘면서 2.8%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수도, 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등이 줄어 6% 감소했고 건설업은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3.4%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운수업 등이 늘어 0.2% 증가했다.

실질 GDP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sink606@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