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 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한국은행이 5월 11~31일 중 전국 343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반도체 업체 과반수 이상이 내년 하반기 이후에도 수출이 중국의 봉쇄조치 이전으로 돌아가긴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26일 한은이 발표한 ‘2023년 6월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업체들은 “중국의 리오프닝이 현재까지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파급 효과가 제한적이며 하반기 이후부터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사대상 업체의 56.3%는 수출이 중국의 봉쇄조치(2022년 3월) 이전 수준으로 이미 회복했거나 올해 내 회복을, 31%는 내년 이후 회복을 예상했다. 12.7%는 내년 하반기 이후에도 수출이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고 응답했다.

다만 일부 업체들은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향후 수출 회복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대다수 업체들이 중국 수출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우려했다.

산업별로는 이차전지, 조선, 자동차 및 부품, 철강은 대다수가 이미 수출이 회복됐으며 향후 석유화학, 기계류, 휴대폰 및 부품, 디스플레이 정보기기, 반도체 순으로 수출 회복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과 경합도가 높은 IT업종의 회복이 글로벌 수요 악화, 미국·유럽 자국 우선주의 정책 등 구조적 요인으로 대체로 늦어지는 가운데 반도체 업체의 과반수 이상은 내년 하반기 이후에도 수출이 중국의 봉쇄조치 이전 수준으로 회복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sink606@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