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26일 발표한 소매유통업체 300개를 대상으로 시행한 ‘2025년 유통산업 전망조사’결과 내년 소매시장은 올해 대비 0.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응답 업체의 66.3%는 내년 유통시장이 올해보다 부정적일 것으로 평가했다. 긍정 평가 33.7%의 부정 평가 이유로는 소비심리 위축(63.8%)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고물가 지속(47.7%), 고금리 지속에 따른 가계부채 부담증가(38.2%), 시장경쟁 심화(34.2%), 소득·임금 불안(24.2%) 순이었다(복수 응답)
이동일 세종대 교수(한국유통학회장)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인상 우려, 고환율 등으로 최근 국내 경제와 기업의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국내 소매유통업계가 체감하는 불안감이 그만큼 높아진 것이다”고 말했다.
◆2025 업태별 성장률 전망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온라인쇼핑(2.6%)이 업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적(64.6%)으로 평가하는 업체가 더 많았고 그 이유로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78.7%), 비용상승(63.8%), 차이나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51.1%) 등을 들었다.
대형마트업계는 내년 시장 성장률을 0.9%로 전망했다. 대형마트 3개 중 2개 업체(64.2%)는 내년 시장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그 이유로 온라인과의 경쟁 심화(94.1%), 고물가‧고금리 지속에 따른 소비 둔화(55.9%), 할인 경쟁에 따른 수익성 악화(50.0%) 등을 꼽았다.
백화점업계에서 전망한 내년 시장 성장률은 0.3%였다. 내년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업체는 68.4%였으며 그 이유로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53.8%), 고물가·고금리로 합리적 소비성향 확산(15.4%) 등을 제시했다.
편의점업계(-0.3%)도 성장이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업태 중 부정적 전망 비중이 70%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내년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로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소비위축(86.8%), 인건비 등 비용상승(85.3%), 편의점간 경쟁 심화(76.5%) 등을 들었다.
슈퍼마켓업계는 내년 성장률을 -0.7%로 전망했으며 부정적 전망 비중은 58.7%였다.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그 이유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33.3%), 온라인과의 경쟁심화(29.6%) 등을 꼽았다.
◆올해 유통산업 10대 뉴스
2024년 유통업계 10대 이슈조사에서는 ‘고물가·고금리에 소비심리 꽁꽁(60.7%)’이 1위로 선정됐다.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내수 회복이 지연됐고 하반기에는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하는 트럼프 2기 출범이 예고되면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차이나커머스의 공습(54.3%)’이 2위를 차지했다. 상반기에는 소위 ‘알테쉬’로 불리는 알리·테무·쉬인 등 차이나커머스가 초저가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무기로 국내 유통업을 잠식해 나가면서 국내 이커머스업체는 물론 우리 중소기업들의 불안감이 고조됐다.
3위는‘티몬·위메프 정산지연 사태(21.7%)’가 차지했다. 하반기 들어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정산지연 문제가 판매자와 소비자뿐만 아니라 관련 기업 등 전방위로 확대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4위는 ‘편의점 편장족(19.7%)’이 올랐다. 고물가로 인해 1~2인용 소용량 위주로 집근처에 있는 편의점에서 장보는 사람 이른바 ‘편장족(편의점 장보기족)’이 늘면서 업계도 기존 간편식품과 가공식품 이외에도 과일과 축산 등 식재료까지 상품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5위는‘다이소에서 화장품 산다(18.0%)’가 꼽혔다. 다이소가 대형마트나 슈퍼마켓에 입점해 접근성이 좋아진데다 매달 수백 개에 달하는 신상품을 출시하면서 큰 인기를 누렸다. 최근에는 화장품 대기업인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 빅3도 상품을 공급하기에 이르는 등 상품영역을 확대했다.
이밖에도 SNS기반 마케팅 강화(15.0%), AI 등 신기술 활용 확산(11.3%), 비효율 사업 매각/정리(11.3%),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 확산(10.3%), 점포리뉴얼로 생존 모색(10.9%)이 그 뒤를 이었다.
NSP통신 강은태 기자(keepwatch@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