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 강수인 기자)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그래프 속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8월 대비 10월에 큰 폭 줄어들었지만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9월 감소한 뒤 10월 증가 전환했다. 가계대출 관리 강화로 인해 줄어든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비은행권으로 이동한 영향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은 “연말까지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에도 가계부채 관리 계획을 마련하도록 할 계획이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0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39조 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 9000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지난 8월 9조 2000억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큰 폭 감소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은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지속, 수도권 주택거래 감소 등으로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수도권의 경우 7월 2만 7000호에서 8월 2만 2000호, 9월 1만 2000호로 감소했다.

다만 금융권 전체로 넓혀 보면 10월 가계대출 잔액은 6조 6000억원 증가해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는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 집단대출 위주로 크게 증가했다. 또 기타대출은 카드론, 보험계약대출 위주로 늘었다.

박민철 한국은행 금융통계국 시장통계팀 차장은 “금융권 전체로 보면 가계대출 증가폭이 6조원대로 다소 확대됐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전월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계절 요인 소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풍선효과로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줄었지만 비은행으로 주택 관련 대출 중심으로 대출이 이동했다”며 “여전히 전체 대출 증가금앨을 보면 낮지 않은 수준이고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수요가 있어 과거처럼 업권별 규제 차이를 바탕으로 하는 투기적 수요로 이어지지 않도록 면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제2금융권의 대출 증가 양상과 관련해 가계대출이 전반적으로 상승전환한 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와 관련해 추가 조치 수단을 업권 자체적으로 시행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금융당국은 2024년 남은 기간 제2금융권에 대해 가계부채 관리계획을 마련토록 할 계획이다. 또 2025년에도 제2금융권에 대해 은행권과 마찬가지로 경영계획을 제출받아 이를 기반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권대영 사무처장은 “최근 들어 보험계약대출이나 카드론 등 서민·취약계층의 급전수요와 관련된 대출이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자금수요에 대해서는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면서 “가계대출을 확고하고 엄격하게 관리하되 그 과정에서 서민·취약계층에 과도한 자금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균형감 있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sink606@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