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7일 2024 트렌드 기자간담회: What's Next를 통해 문화적 변화를 일으킨 2023년 3대 트렌드로 ▲다양한 사용자층 확대 ▲엔데믹 효과로 자기계발과 여행 콘텐츠 증가 ▲K-콘텐츠의 글로벌 강세를 발표했다.
또 2024년도에는 브랜드, 크리에이터, 아티스트들이 틱톡의 K콘텐츠 글로벌 파워를 활용해 적극적인 글로벌 진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첫 번째로 눈에 띄는 트렌드는 대세로 자리잡은 숏폼 사용자층의 확대가 틱톡 2023년 해시태그 데이터에서 입증됐다는 사실이다.
오픈서베이 리포트에 따르면 30대(73.9%), 40대(65.8%)의 숏폼을 접한 경험도 절반을 넘어 다양한 연령대에서 숏폼을 친근하게 느끼는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틱톡의 What's Next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30대(조회수 400%, 생성수 193%), ▲직장인(294%, 49%), ▲취준생(376%, 206%), ▲부부생활(8,116%, 6,714%), ▲워킹맘(1,621%, 914%) 등 30대 이상 다양한 사용자층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해시태그와 부부-육아 등 가족이야기의 해시태그의 조회수가 전년 대비 급증했다.
둘째 2023년 엔데믹 효과로 억눌렸던 자기계발과 여행 욕구의 폭발로 관련 콘텐츠가 급증했다. ▲자기계발(조회수 760%, 생성수 480%), ▲동기부여(587%, 443%), ▲뉴스(166%, 55%) 등의 콘텐츠가 증가세를 보였다. 또 여행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2022년 추가된 장소 태그 기능을 활용해 여행 정보를 나누는 콘텐츠가 늘어 ▲핫플추천(조회수 14만8407%, 6738%), ▲맛집추천(1만534%, 1503%)도 눈에 띄는 증가폭을 보였다.
셋째 K콘텐츠—드라마, 뷰티, 푸드—의 글로벌 강세가 두드러졌다. K관련 해시태그 중 두드러진 산업군은 뷰티와 식음료로 ▲koreanskincare, ▲koreanmakeup과 ▲mukbang, ▲koreanspicy 등 관련 해시태그가 많았다.
손현호 틱톡코리아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제너럴매니저(GM)는 “틱톡을 통한 K콘텐츠 글로벌 확산 사례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2024년에는 뷰티, 식음료 등의 업계를 필두로 다양한 브랜드들이 틱톡을 미국, 동남아 등 해외진출을 위한 플랫폼으로 적극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글로벌 트렌드를 생산하는 K크리에이터도 더 많이 성장하면서 수익화 모델을 통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틱톡은 기자간담회에서 2024년 K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동남아 시장의 역할을 강조했다.
동남아 시장은 K콘텐츠의 영향력이 크고 두터운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어 K콘텐츠 생산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곳이다. 프리뷰 뿐 아니라 리뷰 영상 제작, 배우나 배역의 정보 공유 등 다양한 방식으로 K콘텐츠가 재생산되고, 음악, 음식, 패션 등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전반에서 K콘텐츠 생산과 소비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앙가 아누그라 푸트라 틱톡 동남아시아 운영 GM은 “동남아는 서로 다른 6개국으로 구성돼 있지만 K콘텐츠의 영향력은 어마어마하다”며 “오징어게임 시즌1의 경우 다양한 다른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K콘텐츠의 영향력을 설명했다. 실제 동남아는 82%가 방영됐던 K콘텐츠를 틱톡에서 찾아보고, 글로벌 틱톡에서 37%가 동남아시아에서 K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이와 함께 틱톡은 2023년 틱톡 글로벌과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은 음원 및 아티스트 톱10을 공개했다.
틱톡의 글로벌 인기 음악 1위는 피프티 피프티의 ‘큐피드’고, 글로벌 인기 아티스트 톱10 중 5팀(▲블랙핑크, ▲방탄소년단, ▲엔하이픈, ▲르세라핌, ▲뉴진스)의 케이팝 아이돌이 글로벌 차트를 휩쓸어 내년에도 K팝의 강세 트렌드는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외 틱톡은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관리업체 루미네이트(Luminate)와 공동 조사한 뮤직 임팩트 리포트도 공개했다.
▲틱톡 사용자가 새로운 음악 콘텐츠를 발견하고 공유할 가능성이 타 플랫폼 대비 2배정도 높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유료 이용률이 62%로 평균 소비자들의 이용률(43%)을 상회했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bhlee2016@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