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DX전문기업 LG CNS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사원증 ‘띠딧’을 공식 출시하고, 사내 임직원 대상 서비스에 착수했다.

LG CNS 모바일 사원증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띠딧’을 검색 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iOS 버전 모두 제공된다.

모바일 사원증 띠딧은 기존 플라스틱 카드 형태 사원증 기능을 완벽하게 대체한다. 띠딧을 사용해 사내 위치한 모든 게이트 출입, 식당·카페 결제, 피트니스 출입 등 신원증명이 필요한 곳에서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다. LG CNS는 복합기 사용, 통근버스 탑승과 재직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등 각종 증명서 발급, 전자계약 서명 기능도 곧 오픈할 계획이다.

모바일 사원증에는 블록체인 DID(Decentralized ID) 기술이 적용됐다. DID는 ‘내 정보는 내가 주도적으로 관리한다’는 ‘자기주권 신원증명(Self-Sovereign Identity)’ 개념을 구현해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모바일 신원·자격 인증 기술이다. 공인인증서 등 개인정보를 제3기관의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폰 등 개인의 기기에 정보를 분산시켜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보 소유권을 개인에게 돌려준다는 의미이자 개인 정보의 탈중앙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DID는 블록체인 기술의 기본개념을 따른다. 중앙서버에서 거래 내역을 인증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들의 거래 내역을 ‘블록’에 분산 저장, 그 블록들이 연결된 체인(사슬) 즉 공공거래장부에 기록된 내역을 비교해 거래를 인증하는 것이 블록체인 기술이다.

모바일 사원증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정보를 스마트폰에 직접 소유한다. 신원증명이 필요한 서비스 이용 시 필수 정보만 제공해 인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출입의 경우 모바일 사원증에 담긴 사원번호,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사진, 월급계좌와 연계된 카드ID 등 여러 개 정보 중에 사원번호만 제공, LG CNS 직원이 맞는지 여부만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DID 기술이 적용된 모든 모바일 신분증에서 활용 가능하며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스마트폰 분실 시에는 신고를 통해 모든 권한을 중지할 수 있다.

LG CNS는 DID 기술을 적용해 행정안전부 발행 ‘모바일 운전면허증’ 구축을 올해 7월 성공적으로 완료했고, 지난해 초 모바일 공무원증도 구축한 바 있다.

LG CNS는 모바일 사원증 ‘띠딧’을 본사에 선 적용해 블록체인 기술 성능을 검증, 외부 고객사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LG CNS는 블록체인 이외에도 메타버스, AI, 클라우드, 디지털트윈 등 DX 신기술 기반 신규 서비스들을 사내에 먼저 적용하며, 마곡 사옥을 테스트베드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LG CNS는 최근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오피스를 오픈했다. 가상 오피스는 가상 공간에서 아바타로 출근해 팀원들과 소통하고 업무를 보는 신개념 근무방식이다. LG CNS는 AI 기반 영어회화 학습 앱 ‘버터타임’ 출시 이전에도 직원들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 후기를 반영해 외부에 오픈했다.

LG CNS는 올해 초 영업, 제조, 구매, 인사, 품질 등 모든 비즈니스 영역의 글로벌 SaaS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는 플랫폼 ‘싱글렉스(SINGLEX)’를 출시했다. 이 또한 사내 시스템에 선 적용에 사용성을 검증하고 있으며, 검증된 플랫폼을 외부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이 아닌, 클라우드에 접속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만 구독료를 내고 일정기간 이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LG CNS는 고객이 직접 DX를 체험할 수 있는 ‘이노베이션 스튜디오’도 운영 중이다. 고객은 이노베이션 스튜디오에 방문해서 버추얼 팩토리의 기반이 되는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최신 DX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사업 아이템을 구체화할 수 있다.

LG CNS 보안/솔루션사업부장 배민 상무는 “띠딧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증명 서비스로 확대해 개인에게 정보 관리, 활용 권한을 보장하면서도 생활의 편리성을 높이는 다양한 서비스로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