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가 총 5조 8161억 원을 투자하는 ‘2021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과기정통부 전체 연구개발(R&D) 예산 총 8조8682억 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출연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한 과학기술분야 4조6061억원, 정보통신방송(ICT) 분야 1조 2100억원을 대상으로 하며 ▲기초연구(1조8029억원), ▲원천연구(2조8459억원), ▲R&D 사업화(3415억원), ▲인력양성(2509억원), ▲R&D 기반조성(5749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종합시행계획에는, 3대 분야 9대 중점 투자방향과 연구자 친화적인 연구개발 프로세스 개선의 내용을 담았으며 이를 통해 국민의 행복한 삶을 실현하고 미래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혁신역량을 확충한다.

연구자들의 창의·도전적 연구 지원을 위해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지속 확대하며, 젊은 연구자에서 리더 연구자까지 생애주기별 지원체계를 확립하는 등 미래역량 확충을 위한 지원을 지속한다.

특히 세종과학펠로우십을 신규 추진하여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자유로운 연구실 이동을 통해 원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연구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의사과학자, 우주분야 전문인력 등 고급 R&D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국내외 인재, 미취업자 등 과기인재의 활용을 촉진한다.

또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대학원을 2개소 신규 개설하고, 차세대 통신 등 ICT 유망분야 R&D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한편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의 정착 및 확산을 위해 출산·육아휴직자의 업무공백을 지원하는 대체인력 지원을 확대하고, 여성과학기술인의 경력복귀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성장 실현을 위해 연구개발특구 육성* 등 지역의 R&D역량 강화를 지속 추진하고, 과학기술·ICT의 국제역량 강화를 위해 전략적 국제협력 및 국제표준개발 등을 지원한다.

ICT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실증 및 시험인증 환경을 지원하고 디지털 신기술과 이종산업(교통·제조·농업 등)간 융복합 서비스 개발(’21년 173.5억원)도 지속 추진한다.

소재·부품·장비의 자립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차세대 미래선도품목 등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하며, 차세대 무인기시장 등 새로운 시장 선도를 위한 혁신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을 지속 추진한다.

또 초고성능컴퓨팅·양자컴퓨팅으로 대표되는 미래컴퓨팅, 고성능·저전력의 인공지능 반도체 등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한국형 발사체와 세계적 수준의 공공수요 기반 위성을 개발하고 핵심 부품을 국산화하는 등 미래사회를 견인하기 위한 우주개발을 가속화 하며 원전 안전 및 해체, 인력 양성 등 원자력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신소재(동위원소 등) 및 정밀의료 등 방사선 기술활용 연구를 촉진한다.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강화, 비대면 서비스 산업 육성 등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연구개발을 강화(’21년 1391억원)하는 한편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미래 핵심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또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등 조기 기술 확보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성과창출을 위해 과제간 연계를 강화하고, 과제 규모를 확대한다.

연구개발이 단순히 연구에만 그치지 않고 기술사업화·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험실 창업을 촉진*하고 연구성과 기술을 기업이 원하는 수준으로 성숙시키는 실용화 패스트트랙 등을 지원한다.

또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바우처 지원 사업을 확대(‘20년 128.5억원→’21년 547.26억원)하고, 대기업·정부가 협력해 ICT 스타트업을 고성장 기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지원 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강화한다(’21년 1299억원).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치료제·백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치매·뇌질환 등 질병에 대한 기초연구성과가 실용화 단계로 빠르게 이행될 수 있도록 투자를 강화한다.

또 삶의 질 향상을 견인할 바이오·헬스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의료기기, 재생의료 등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전주기 지원을 확대한다.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지원하고 탄소를 포집·저장·활용(CCUS)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등 기후문제를 해결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이끌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를 추진하며, 정보통신 장비·SW 등의 저전력·고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21년 107.5억 ).

또 새로운 유형의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불법촬영물 유포 방지, 보이스피싱 예방 관련 연구개발 및 폐질환 정확도 향상 등 ICT 기반의 사회문제해결 기술개발도 추진한다(’21년 118억).

연구자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고시점을 정례화(1월/3월/5월/11월)했으며 과제 유형에 따라 평가체계를 차별화 하고 대외 상황(코로나19 등)에 따라 온라인 평가를 실시하는 등 평가방식을 다양화했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기업의 부담 경감을 위해 총연구개발비 중 기관부담 등을 조정할 계획이고, 건강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연구성과, 연구실 관리·문화가 모두 우수한 건강한 연구실 포상을 확대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1월 4일자로 공고했으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1월18일~1월20일)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