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임창섭 기자 = 김정일 위원장을 갑작스런 사망으로 북한 투자리스크가 크게 확대된 것으로 국내 언론들의 보도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지구상 단 하나 남은 북한의 개인숭배 전체주의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독재정권의 간섭을 감수하고 투자한 외국기업들이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전해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Businessweek는 현지시간 지난 20일자 ‘북한, 새로운 기회의 땅’(North Korea, new land of opportunity)제하의 Dexter Roberts의 컬럼을 실었다.

Dexter는 칼럼에서 ‘북한이 주체사상을 내세우고 있고 핵을 개발하는 불량국가로 낙인찍혀 있고 개인을 숭배하는 전체주의 마지막 수호국임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북한의 리스크와 정권의 간섭을 감수하고 북한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칼럼에 따르면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조사결과 지난 2010년 북한으로 유입된 해외투자는 2009년 14억3700만 달러보다 증가한 14억7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과 캐나다 기업들은 對北 사업이 대체로 금지돼있지만 한국과 중국의 기업들과 30여 개에 달하는 유럽 기업들은 구리와 금 광산과 의약품, 청바지 생산공장은 물론 인터넷 서비스에도 투자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에서 자동차 부품 생산과 광산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의 대기업 완샹그룹 Lu Guanqiu 회장은 “북한이 우리와의 접촉을 통해 더 개방되고 자유화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집트 통신회사 오라스콤텔레콤은 북한에서 3G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며 DHL은 운송 사업을, 프랑스 시멘트 제조사 라파즈는 직원만 3천여명에 달하는 시멘트 공장의 지분 30%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인프라 건설 기업들은 북한의 항구 고속도로 발전소 건설에 65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는 삼성경제연구소의 발표와 북한에 매장된 광물자원의 가치는 6조 달러 이상인데 이 때문에 중국의 기업들이 북한의 광물자원 개발에 대거 몰리고 있다는 한국광물자원공사의 실례로 들었다.

Dexter는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의 자료를 인용, 2010년에 북한에서 사업자 등록을 한 중국 기업들은 138개 업체이며 이 중 41%는 석탄 철 금 등의 채광사업 분야’라며 삼성경제연구소도 2004년 이래 북한의 광물자원에 대한 중국의 투자는 5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중국이 북한의 해외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53%에서 2010년 57%, 35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이와관련 베이징의 한 대북사업 자문회사 간부 Roger Barrett는 “중국 기업들은 북한에 대거 몰려들어 사업기회를 독차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Dexter는 ‘북한의 도로는 좁고 울퉁불퉁하며 철도와 항구시설은 열악하기 그지없는데다 전력은 일상적인 조명을 유지하기에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美 외교협회(CFR) Scott Snyder 한미정책 연구소장는 “북한 지도부의 결정은 법적 합의를 대체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2009년 중국 상무부의 투자 안내에서는 ‘최근 북한에 투자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북한의 불리한 사업 환경에 대해 경고했다.

그러나 한국의 일부 중소기업에게는 북한의 지리적 이점이 정치 인프라에 대한 우려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을 제기하고 2005년 남북 간의 긴장이 완화됐을 때 출범한 개성공단에 현재 100개 이상의 한국 기업들이 경공업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Dexter는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에서 공장을 운영할 때와 비교해 시간과 운송비를 엄청나게 절감할 수 있고 김정일 사망 이후 생산속도가 둔화됐었지만 곧 정상화됐으며 사업에 불리한 요인들은 낮은 인건비로 충분히 상쇄된다’는 남성의류 제조업체 나인모드 옥성석 대표의 말을 그대로 칼럼에 인용했다.

옥 대표는 “북한 노동자의 생산성은 한국 노동자의 60%에 불과하지만 임금은 한국 최저임금의 1/5, 중국 칭다오 공장 임금의 1/4 수준인 월 160달러”라고 밝히며 “부진한 생산성은 북한 노동자의 게으름이나 기술 부족이 아닌 정치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진단한 뒤 “북한 관료들은 생산에 시간을 투자하기보다 정치적 행사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창섭 NSP통신 기자, news1@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