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희진 기자 = 멕시코 위기는 글로벌 경제사에서 차지하는 의의가 상당하다. 세계무역기구(WTO)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출범하는 등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구체화된 시점에서 처음 발생한 금융위기였기 때문이다.

1990년 초만해도 멕시코의 경제 펀더멘털은 양호했다.

실질 GDP성장률은 4~5%를 유지했고 물가상승률도 두 자리 수에서 한 자리 수까지 내려온 상태였다.

물론 부담스런 부분도 있었다. GDP 대비 7~8%에 달하는 경상수지 적자와 10% 중반까지 낮아진 저축률이 문제였다.

하지만 이런 악재를 상쇄하고 남을 정도로 멕시코는 높은 투자매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악재가 몰려왔다. 특히 대내외 충격에 의한 자본유출이 멕시코 외환시장을 크게 흔들었다.

외부 충격은 언제나 그랬듯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다. 당시 연준은 저축대부조합 파산 여파로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린스펀 연준의장이 1994년 1월 3%였던 금리를 1년 만에 6%로 빠르게 올리면서 양국 금리차가 축소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멕시코에 유입됐던 외국자본이 빠르게 유출됐다.

내부 충격은 정치 불안과 정책 부재로 촉발됐다. 멕시코 정국은 1994년 1월 치아파스 농민 반란과 3월 집권여당 대선후보 암살로 극심한 혼란 상태였다.

이런 상황이 투자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면서 투자자들의 페소화 매도가 본격 발생했다.

공교롭게도 멕시코는 8월 대선을 앞두고 있어 환율 정책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결국 그 해 12월 멕시코는 페소화를 15% 평가절하했고 곧 이어 고정환율제 대신 변동환율제를 도입했다. 또한 위기의 구원투수로 IMF가 다시 등장했다.

당시 금융시장의 반응은 명확했다. 1995년 1분기 멕시코 주가는 폭락했다.

채권 금리도 두 자리 후반으로 급등했다. 반면 선진국 증시는 안정적 흐름을 유지했다. S&P 500 지수는 1분기에 9%, 연초 이후로 30% 이상 올랐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처럼 신흥국이 흔들릴 땐 선진국이 피난처로 부상되는 게 멕시코 위기를 통해 또 다시 증명됐다”고 분석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희진 기자, ang0919@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