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태연 기자 = 가계부채가 국내 경제 및 금융시스템의 위기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가계 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 분석, 가구의 자산 및 부채 분포 등을 분석한 결과 위험 가능성은 있으나 가계와 금융시스템의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예상된다.

부채의 증가속도가 문제지 부채의 총량은 아직 통제 가능한 수준이다. 가계부채에 대한 단편적인 위기 해석은 경계될 필요가 있다.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 현재 1356조원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했다. 하지만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44.8%, 실물까지 포함한 총자산 대비로는 16.5%에 불과하다.

2015년 가계 연간 순금융투자 (운용-조달)는 99조6000억원에 이르며 가계의 현금흐름은 26조5000억원에 달한다.

소득 상위 계층이 전체 가계 순자산의 44%를 점유하고 있고 총부채의 47%를 보유하고 있다.

다만 저소득층과 저신용 및 다중채무 등 취약계층은 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채무상환 위험은 여전히 높다.

전체 가계의 이자수지 (수입-비용)는 2006년 이후 연 1조원 수준의 적자가 유지되고 있다.

2006년과 2010년 금리인상 기간에도 적자폭은 유지됐다. 금융자산이 금융 부채 대비 두 배이고 가계의 순금융투자 등을 감안하면 금리상승에 따른 부채상환 악화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 가계소비는 소득의 크기, 부채의 증감에 정 (+)의 상관, 부채상환부담 대용지표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 비율에 음(-)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부채의 급격한 감소보다 소득개선과 부채총량 유지를 통해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소득, 고신용 등 우량차주는 대부분 은행 등 1금융권에서 차입했다. 이에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24%, 연체잔액은 1.5조원에 불과하다.

문정희 KB증권 애널리스트는 “저소득, 저신용 등 취약차주는 저축은행이나 대부업 등에서 높은 금리로 차입했다”며 “취약차주 채무위험이 높아질 경우 저축은행 등으로 전이될 수 있으나 은행 등 1금융권으로 확산되지 않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태연 기자, ang1130@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