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태연 기자 = 해가 바뀌면서 중국에서도 새로운 변화들이 시작된다. 대표적으로 탄소배출권(CERs) 거래 제도가 정식 도입된다.

현재 중국은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이자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2014년 기준 글로벌 전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의 28%를 차지한다.

미국과 유럽을 합친 것보다도 많은 양이다. 1인당 배출량은 7.6톤으로 이미 유럽(6.8톤)을 상회하며 최근 10년간 연평균 8%씩 늘어나고 있다.

탄소배출권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리를 사고파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 약 30개국에서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중국은 2011년부터 일부지역에 한해 시범 운영되어 왔다.

각 지방정부별로 온실가스 배출 한도를 설정하여 한도보다 탄소를 적게 배출한 기업과 부족한 기업 간에 배출량의 권리를 서로 매매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전국 규모의 통일된 탄소배출권 시장을 개설하여 본격적인 운영에 나서고2020년까지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도록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중국의 연간 CO2 배출량은 약 100억톤이다. 이 중 30%~40%가 거래된다고 단순 가정해도 연간 최소 30억톤 이상의 거래 시장이 형성된다.

여기에 지난 1분기-3분기 평균 거래가격인 톤당 35위안을 적용하면 시장 규모는 1050억위안(한화 18조2000억원)로 예상된다.

여기에 레버리지 비율이 400%에 달하는 선물거래까지 감안하면 시장 규모가 최대 5000억위안(86.5조원)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게 현지 업계 시각이다.

중국의 탄소배출권 제도 도입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다.

최원석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중국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가 뚜렷하다”며 “13차 5개년 규획 기간(2016~2020)"녹색발전"을 핵심 정책으로 격상시켰고 2018년부터는 환경보호세법도 정식 시행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2017년 탄소배출권 도입에 이어 2018년 환경보호세법까지 정책 환경이 우호적이다”며 “올해부터 중국 환경보호 관련주들은 꽃길만 걷겠다”고 전망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태연 기자, ang1130@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