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정태 기자 = 노철환 성균관대 교수는 “프랑스 영화시장의 성장에는 지원금 규모부터 다르다”고 밝혔다.
노 교수는 지난 22일 CJ CGV의 영화산업 미디어포럼 발표 자리에서 “프랑스 영화는 다양성, 폭넓은 관객층,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정부의 지원금에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과 프랑스의 실질적 영화산업 규모는 1대 3~5배 수준. 영화 지원금 규모로 보면 540억원대 4489억이나 된다.
이 때문에 노 교수는 “프랑스 영화계의 제작자, 배우, 스텝 등은 잘 먹고 잘 산다”는 말이 잘 어울릴 정도다고 말했다.
그 만큼 지원금 제도가 좋다는 것. 프랑스의 지원금은 영화계 극장수입에 18.9%, TV에서 77.2% 나머지 비디오, 기타에서 지원금이 나온다.
노 교수는 “프랑스의 경우는 극장수입에서 뿐만 아니라 TV에서 가장 큰 지원금이 나온다”며 “이는 TV가 영화콘텐츠 때문에 돈을 벌기 때문에 결국 TV가 돈을 많이 내야 한다는 프랑스 정부의 법규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영화의 제작 편수도 1년에 300편 가까이 된다.
한국의 경우 지원금에 대한 뚜렷한 법규나 지원책이 없다는 것이 노 교수의 지적이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영발기금 지출액에서 제작지원이나 투자 등의 비용보다 영진위 지방 이전비 등에 무려 242억원(31%)을 쓰는 것을 보면 프랑스와는 대조적이라는 것도 노 교수의 설명이다.
노 교수는 프랑스의 경우는 영화 투자금 구조도 “프랑스제작자, 소피카, 자동지원, 선택지자체지원 외에도 방송사가 무려 35.5%를 공동투자형식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영화 시장 투자금 구조 또한 다른 것이 프랑스 영화시장이라도 말했다.
프랑스의 경우는 폭넓은 관객층이 있는 것도 한국과 다르다. 한국의 경우 여성 관람객이 60%를 차지한다. 반면 프랑스의 경우 남성 보합 47%, 35세 이상이 과반이다.
특히 60세 이상은 인구비(20%내외)보다 높은 26%나 된다.
노 교수는 “프랑스의 60세 이상 관람객이 많은 것은 1960년대 누벨바그 전성기에 이들은 10대였고 이들이 지금까지 프랑스 영화의 자부심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프랑스의 관람층은 다양하다는 게 노 교수의 분석이다.
프랑스 영화시장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영화 교육프로그램이 잘 돼 있다는 것이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생까지의 영화 교육프로그램이 잘 돼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를 보기 이전부터 영화에 대한 사전교육까지 교재와 교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물론 단체관람과 관람료 할인은 기본이다.
노 교수는 “프랑스 학교에서는 영화는 TV가 아닌 극장에서 봐야 한다는 교육이 철저히 잘 돼 있다”며 “6, 7·8월 수요일 개봉일에는 아예 TV에서 영화 방영을 못하게 한다”고 말했다.
또 노 교수는 프랑스의 무제한 관람카드도 영화 성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노 교수는 “CJ CGV에도 무제한 관람카드를 제안한 적이 있지만 한국 실정에 안 맞다는 이유로 거절당하긴 했지만 여전히 필요하다는 입장은 똑같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노 교수는 2030 문화공간으로서의 영화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 교수는 “영화는 영화관에서, 교육과 할인의 병행으로 젊은 관객을 육성해야 하고 지역시설을 활용한 영화의 다양성을 맛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국내외 영화문제에 대한 대처를 위해 영화계의 대화와 협력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노 교수는 “앞서 프랑스 영화시장에서 도입한 무제한 카드의 매력도 스크린룸 시대를 대비해서도 따져봐야 하고 정부와 학계가 함께 한국영화산업에 대한 로그맵을 그려나가는 것도 빠뜨려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외 노 교수는 “문화적이고 장기적으로 스크린 효율성 재고를 위해 스크린 독점은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NSP통신/NSP TV 김정태 기자, ihunter@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