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14 제고)

(서울=NSP통신) 고정곤 기자 = 서울에 위치한 사업시행인가·관리처분계획 단계의 재건축·재개발 구역을 확인한 결과 총 113곳, 6만1970가구 규모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계획 이후 1년 이내에 이주가 가능한 점에 비춰보면 현재(2015년 9월)부터 2016년 사이에 이주가 가능한 곳들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입주아파트는 이주물량에 고작 절반 수준인 3만여 가구로 수급 불일치에 따른 전월세불안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구별 이주가능 물량은 강동구가 1만2252가구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둔촌주공1단지~4단지 5930가구와 고덕주공 3·5·6·7단지 5240가구가 ‘사업인가·관리처분’ 단계에 진입하면서 이주절차가 임박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은평(7417가구), △서대문(6867가구), △성북(5521가구), △강남(3970가구), △서초(3749가구) 순으로 이주가 임박한 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정비사업으로 과거보다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 재건축 아파트가 줄어들면서 강북권 재개발의 이주물량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분위기다.

재건축 이주는 강동구 둔촌동과 상일동 일대에서 1000가구 이상 대규모 이주가 예상된 가운데 강남구 개포동 시영(1970가구)과 주공3단지(1160가구), 마포구 아현동 아현제2구역(1234가구), 서초구 서초동 무지개(1074가구) 등 강남권을 중심으로 매머드급 단지의 이주가 예상되고 있다.

반면 재개발은 서대문구 북아현동 북아현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에서 3695가구의 대규모 이주가 예상되며 은평구 응암동 응암제2구역(2234가구),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1재정비촉진구역(1808가구), 양천구 신월동 신정1-1지구(1748가구), 송파구 거여동 거여2-1지구(1448가구), 성북구 길음동 길음1재정비촉진구역(1350가구) 등 강북권을 중심으로 매머드급 이주를 앞두고 있다.

김은진 부동산114 팀장은 “일반적으로 재건축·재개발 이주기간은 3개월~4개월 수준으로 짧은 편이어서 단기간에 1000여가구 이상의 가구가 이주하면 인접지역의 전월세 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경향이 크다”며 “게다가 이주물량 대비 2016년까지 예정된 공급(입주)도 많지 않은 상황이어서 내년에도 전월세 불안현상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 김 팀장은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이주수요의 분산을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주기간 추가 연장, 이주자를 위한 단기 임대주택 공급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민들의 주거불안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NSP통신/NSP TV 고정곤 기자, kjk1052@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