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새해 꾸준히 운동하겠노라 결심하는 사람들로 연초 헬스장이 붐비고 있다. 주부 박은영(52세)씨도 살을 빼기 위해 헬스장을 등록하고 매일 두 시간씩 운동을 시작했다. 의욕이 앞섰는지 런닝머신을 뛰던 중 순간적으로 무릎이 삐끗하면서 통증이 생겼는데,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병원 검진을 예약했다.

기초체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신의 몸 상태를 과신한 채 무리하게 운동하다가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박씨처럼 평소에 운동을 전혀 하지 않고 퇴행이 시작되고 있는 중년의 경우 반월상 연골판이나 무릎연골이 손상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무릎 관절 속에 있는 초승달 같이 생긴 반월상 연골판은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복잡한 무릎 운동을 부드럽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걷거나 달릴 때 무릎 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주지만 심한 충격을 받으면 손상될 수 있다.

강북힘찬병원 이동현 소장

나이가 들면 연골판이 퇴화되면서 외상이나 스포츠손상 등으로 쉽게 손상되고, 이때 연골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연골 손상도 급속도로 진행된다. 연골판 손상 환자 10명 중 8명이 연골 손상을 갖고 있을 정도로 연골판 손상이 연골 손상까지 유발하고 있다.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무릎을 구부리거나 갑자기 방향을 전환할 때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는 증상이 대표적이다. 또한 무릎이 붓고 소리가 나면서 걷기도 힘들어진다. 이 밖에도 찢어진 연골 조각이 관절 사이로 끼어들어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해 무릎이 펴지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반월상 연골판은 한 번 파열되면 자연 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내버려 두면 찢어진 연골판이 너덜너덜해지면서 손상부위가 점점 커져 결국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연골판 손상이 심하지 않고 찢어진 부분이 1cm 미만이라면 부목이나 석고 등으로 무릎은 보호하고, 염증을 줄이는 보존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찢어진 반월상 연골판을 봉합하거나 다듬어주는 수술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 시술을 통해 관절 안의 상태를 보면서 간단히 연골판을 봉합하거나 부드럽게 다듬어 주고, 심하게 손상된 경우 연골판 이식을 통해 정상적인 재현이 가능하다.

뼈와 뼈를 감싸고 있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도 손상된 채로 방치하게 되면 조기에 퇴행성 관절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년층의 경우 별다른 외상이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날 갑자기 무릎이 아프거나, 평소에는 괜찮다가 집안 일이나 운동을 무리하게 한 후에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는 무릎 연골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40~50대 중년 관절은 아직 젊은 나이이기 때문에 연골이 손상됐다 하더라도 그 범위가 적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연골손상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10~20분 내외의 간단한 관절내시경 시술로 자기 관절을 보존하면서 퇴행성 진행을 막을 수 있다. 연골 손상이나 초기 관절염 단계에서 자기 연골과 관절을 보존하는 대표적인 시술은 ‘연골성형술’이다. 연골성형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찢어지고 손상된 연골을 다듬은 후, 고주파를 쏘여 관절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연골재생을 유도하는 시술법이다. 손상된 연골의 표면을 고주파 치료로 자극을 시킨 후, 해당 조직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손상된 연골이 치료되는 원리이다.

새해를 맞이해 건강관리에 힘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상 없는 건강한 운동이다. 안 하던 운동을 갑자기 욕심을 부려 하지 않고 운동 계획을 세울 때 자신의 체력 상태를 체크하여 적절한 운동법을 찾도록 해야 한다.

강북힘찬병원 이동현 소장(정형외과 전문의)

본 기고/칼럼은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든 책임은 정보 제공자에게 있습니다.

people@nspna.com, 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