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박정섭 기자) = 올해는 유난히도 먹거리에 대해 말도 많았던 해였다.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는 커가고 있는데 반해 공급자인 기업들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더 큰 문제는 '소비자 건강을 위한 위생'에 대해 기업들이 너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점이다. [데스크칼럼]에서는 올해 식품 위생관련 검찰에 기소됐거나 행정당국으로부터 주의를 받은 사례를 중심으로 ‘먹거리 안전 이래도 되는가’의 제하로 3회에 걸쳐 기업들의 비윤리, 부도덕성에 대해 짚어본다. <편집자 주>

지난달 서울서부지검은 동서식품 대표와 부사장, 공장장등 6명을 불구속기소했다. 이들에게 적용된 혐의는 ‘식품위생법 위반’이다.

검찰이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를 들어 식품회사의 대표까지 구속한 건 매우 이례적이다. 그만큼 사안이 중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검찰은 동서식품이 지난 2012년부터 2년여동안 ‘아몬드 후레이크’ 등 시리얼 제품 5종에서 대장균군(대장균과 비슷한 세균 집합)이 검출된 사실을 알고도 이를 식품의약안전처(이하 식약처)에 보고하지 않은 채 불량 제품을 정상 제품에 섞어 판매했다고 밝혔다.

쉽게 말해 대장균군이 검출돼 폐기해야 할 제품을 시중에 유통시켜 소비자에게 먹였다는 얘기다. 동서식품이 대장균으로 올린 매출 규모는 무려 28억여원(시리얼제품 50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더욱 경악케 만든다.

현행 식품법규상 검사 결과 검체 중 하나라도 부적합한 것이 나올경우 부적합 제품의 수량이나 규모에 상관없이 제품 전량을 즉각 회수 또는 폐기 조치하고 이를 즉각 식약처에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동서식품은 자가품질검사(스스로 제품을 검사하는 제도) 결과 대장균군이 검출된 제품을 재가열하는 수법으로 일정비율씩 공정에 투입하는 수법으로 새 제품에 섞어 판매했다는 게 검찰 측의 설명이다.

또 동서식품은 식약처로부터 식품의 원료 구입 단계에서부터 최종 소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업체임을 공인해주는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인증을 받았지만, 이 인증을 받기 위해 식약처에 제출했던 생산 공정도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동서식품은 불량제품을 정상 제품인 것처럼 팔고, 또 국가기관에 인증을 받기위한 서류도 허위로 제출했다고 하니 정말 어이가 없다. 동서식품은 소비자와 국가기관을 기만하는 세계 1등기업의 영광(?)스런 명예를 안고 싶었던 것일까.

검찰의 동서식품 임직원에 대한 기소 소식이 나오면서 사회적 파장이 일파만파 커지자 동서식품 측은 사과와 해명으로 위기를 모면하고자 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그 해명이 더욱 기를 차게한다.

“대장균 같은 경우는 생활 주변에 엄청 많이 있는데 그런 것들에 (시리얼이) 오염되면 이걸 버려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양이 너무 많다. 그래서 재가공에 들어간다”라는 해명이다.

세균에 오염된 시리얼이 아까워서 재가공해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게 말이 되는가.

과연 아까워 재가공된 대장균 시리얼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동서식품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은 과연 이 시리얼을 본인은 물론 자신의 가족들에게도 먹였을지 의문이다.

즉각 폐기처분해야 할 시리얼을 소비자들에게 먹여놓고 이걸 과연 해명이라고 하는지 묻고 싶다. 동서식품의 사과와 해명엔 진정성이 없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고 급기야 소비자단체에서도 불매운동까지 벌일 기세다.

소비자단체의 한 관계자는 “자체 품질검사를 통해 문제가 있었음에도 유통, 판매해 소비자의 건강을 유린했다는 점에서 기업의 도덕적 해이와 사회적 책임이 바닥에 떨어졌음을 확인했다”고 맹비난했다.

이와함께 “관리감독을 철저히해야할 식약처에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검찰조사가 진행되고 사회적 파장이 커지자 식약처는 그때서야 동서식품 시리얼 대장균균 오염 조사에 허겁지겁 둘어갔고 균엔 오염되지 않았다는 검찰조사와 상반된 믿기 어려운 결과를 내놓았다. 다만 과태로 부과등 행정처분을 내렸다.

문제가 커지기 전에 먹거리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서 국민의 건강안전을 지켜야 하는 식약처. 이런 식약처가 항상 ‘사후약방문’에 그치고 있고 ‘복지부동’의 자세로 안이하게 임하고 있다는 비난이 거세게 일고 있다. 또 기업눈치보기에 급급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식약처는 과연 기업과 국민 그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의문이다. (본지 편집부국장 겸 산업부장)

본 기고/칼럼은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든 책임은 정보 제공자에게 있습니다.

desk@nspna.com, 박정섭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