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서적 4종 표지. (전남대학교)

(광주=NSP통신 김용재 기자) = 지난 1929년 발생한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일본 정부에 의해 ‘제2의 3·1운동’으로 간주됐다는 사실이 전남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전남대학교 학생독립운동연구소(소장 장우권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진행된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연구 활동을 집대성한 책 4권을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장우권 교수와 김홍길·박성우·정근하 박사 등 연구진이 이번에 발간한 책은 ‘제2의 3·1운동 광주학생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진상’ 등 두 권의 번역서와 ‘일제강점기 학생독립운동 신문기사’ ‘일제강점기 학생독립운동연구현황’ 등 색인집 두 권이다.

특히 ‘제2의 3·1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일본 외무성 소장자료를 반출해 처음으로 완역한 번역서로, 조선학생사건(광주학생독립운동)이 해외 한인들의 항일투쟁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 지를 다루고 있다.

자료는 1930년 4월 일본 외무성 아세아국이 작성한 문서이며, ‘조선학생사건에 대한 재외조선인 및 중국인들의 동향’을 담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당시 일제 당국은 조선에서 확산되던 광주학생운동이 1930년 3월을 거치며 제2의 3·1운동으로 전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외무성은 그 무렵 만주 · 상해 · 북경· 노령 연해주 · 미주 하와이 등지의 재외 조선인 행동과 중국인의 반응을 수집해 기록으로 남겼는데, 이는 1931년 일제의 본격적인 대륙침략 계기가 된 ‘만주사변’ 발발 전 항일세력들의 동향을 분석한 자료였다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장우권 교수는 “이 문서는 1930년 당시 해외 각지 영사관 관헌들과 특고경찰, 밀정들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일본 외무성이 정리해 본토의 주요 기관들과 공유했다는 점에서, 항일운동에 대한 일본 측의 반응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말했다.

역시 번역서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진상: 총독부 학무국의 광주학생사건에 대한 초기인식’은 광주학생운동의 국내확산 과정에 대해 당시 교육정책을 담당하던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진상 조사와 대처과정을 다룬 기록이다.

이 자료는 연구진이 국외자료 수집과정에서 발굴한 자료를 바탕으로 완역한 것이며 당시 광주 지역 ‘학생충돌사건’의 내막과 전국 각지로의 확산 전말을 담고 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해 일본 측의 피해상황을 중심으로 기술한 기록이면서, 동시에 총독부 학무국의 자기항변적 기술을 담고 있는 문서다.

연구진은 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광주학생운동 발발과정에 대한 기존 문건들과의 상이한 주장과 내용을 별도로 상술해 해당 문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이 문서는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총독부학무국의 초기 인식과 대응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 볼 수 있다.

특히 재일조선인학자 강재언 교수가 해설하고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가 번역했던 ‘광주학생독립운동자료’(1995)에도 포함되지 않은 기록이어서 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 밖에 ‘일제강점기 학생독립운동 신문기사색인집’은 일제강점기 국내외에서 발간된 한글신문 8종과 일본어로 작성된 20종의 신문기사를 연관검색어에 따라 주제별로 분류해 관련기사를 색인한 것이다.

또 ‘일제강점기 학생독립운동연구현황’은 학생독립운동 관련 각종 잡지, 학술지, 학위논문에 수록된 중요 연구자료를 집대성해 학술 색인집으로 모은 것이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핵심 자료가 유실되는 등 관리소홀이 지적되는 상황에서 발간된 이번 연구서적은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고 방향을 제시하는 작은 디딤돌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sp2549@nspna.com, 김용재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