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2024년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추이 (표 = 광양상공회의소)

(전남=NSP통신) 김성철 기자 = 광양상공회의소(회장 우광일)가 지역기업 100여 곳을 대상으로 5월 29일~6월 11일까지(휴일제외 10일간) 조사한 ‘2024년 3분기 기업경기전망조사' 결과 기업경기전망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가 68.6P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올해 2분기(74.4P) 대비 5.8P 하락하면서, 기업경기전망지수(BSI)가 100 이하를 기록해 11분기(2022년1분기~2024년3분기) 연속 불황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0~200 사이로 표시되며, 100을 넘으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100 미만이면 반대로 악화될 것으로 예상함을 의미한다.

이번 기업경기전망조사에서는 중국의 기술성장과 저가 물량공세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먼저, 2024년 상반기 영업이익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내수소비 위축’(48.5%)을 가장 많이 답했으며, ‘유가·원자재가 상승’(28.6%), ‘고금리 장기화’(11.4%), ‘해외수요 부진’(5.7%), ‘규제강화 등 국내 정책이슈’(2.9%), ‘환율변동성 확대’(2.9%) 순으로 답했다.

이어서, 여러 산업분야에서 중국의 과잉공급 및 저가상품 수출 확대가 기업의 실적 및 경영에 어떤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현재 영향 없으나 향후 피해 가능성 있음’(40%), ‘영향이 적거나 없을것으로 전망’(31.4%), ‘매출·수주 등 실적에 영향있음’(28.6%) 순으로 답했으며,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로 어떤 피해를 겪고 있거나, 피해를 예상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내수시장 거래 감소’(40.5%), ‘판매단가 하락 압박’(27%), ‘중국 외 해외시장 판매 부진’(13.6%), ‘실적부진에 따른 사업축소·중단’(13.5%), ‘대중국 수출 감소’(5.4%) 순으로 답했다.

지난 5년간 기업의 기술력 및 품질경쟁력이 중국 경쟁기업들과 비교할 때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우위에 있으나 기술격차 축소’(60%). ‘비슷한 수준까지 추격당함’(17.1%), ‘계속 우위에 있음’(11.4%), ‘중국기업에 추월당해 열위에 있음’(8.6%), ‘계속 열위에 있음’(2.9%) 순으로 답했으며, 중국 기업들의 기술 성장속도를 고려할 때 중국기업이 몇 년 이내로 기술력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4~5년 이내’(58.1%), ‘6~10년 이내’(29%), ‘2~3년 이내’(12.9%) 순으로 답했다.

또한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마련하거나 검토중에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고부가 제품 개발 등 품질향상’(36%), ‘인건비 등 비용절감’(22%), ‘제품 다변화 등 시장저변 확대’(12%), ‘신규 수출시장 개척·공략’(12%), ‘대응전략 없음’(10%), ‘현지생산 등 가격경쟁력 확보’(4%), ‘기타’(4%) 순으로 답했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국내 산업 보호 조치 강구’(54.3%)를 가장 많이 답했으며, ‘신규시장 개척 지원’(20%), ‘연구개발(R&D) 지원 확대’(17.1%), ‘무역금융 지원 확대’(8.6%) 순으로 답했다.

광양상공회의소 관계자는"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장기화가 지역경제에도 영향을 미치며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하반기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가능성과 미국 대선 등 대·내외 정세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술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 및 금융 지원 확대와 국내 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마련 등 국내 기업들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NSP통신 김성철 기자(kim7777@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