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김성철 기자 = 여수광양항만공사(사장 박성현)는 지난 28일 광양항 포스코 원료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무역항 하역부두에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LNG 벙커링과 하역 동시작업 실증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선박 대 선박 벙커링(STS, Ship to Ship)는 벙커링 전용선박을 통해 연료 공급이며, (공급선사/선박) 한국엘엔지벙커링 / Blue Whale(7.5k㎥, LNG 벙커링전용선)(수급선사/선박) 에이치라인해운 / HL-ECO(179k dwt, 벌크선, LNG DF선)이다.
현재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에 따라 LNG 추진 선박 발주·운항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해외 주요 항만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선박을 통한 LNG 공급(벙커링)이 활발히 진행돼 왔으며, 최근에는 선박연료 공급과 화물 하역을 함께 수행하는 동시작업 방식의 LNG 공급(벙커링)도 실시되고 있다.
LNG 추진선박 현황(DNV)는 (2022년)255척→(2028년) 약 978척(운항 438척, 발주 540척)이다.
해운선사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STS 벙커링과 하역 동시작업을 최우선적으로 선호하며 LNG 벙커링 동시작업 최초 시행는 헬싱키항(2019년 9월), 싱가포르항(2021년 3월), 상하이항(2022년 3월) 실시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LNG 공급(벙커링) 실적 부재, 이해 부족 등으로 선석 사용 허용 및 행정관청의 안전 규제 승인을 받지 못하면서 그간 무역항 하역부두에서 선박 대 선박(STS) 방식의 LNG 공급(벙커링)이 실시되지 못했다.
무역항 수상구역등에서 위험물(선박연료 포함)을 하역하려는 자는 ‘선박입출항법’에 따라 자체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 관리청(지방해양수산청장 또는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국내 유일의 LNG 공급(벙커링) 전용선 보유 사업자인 한국엘엔지벙커링(주)를 ’항만 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실증‘ 사업자로 지정(2023년 10월)해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등의 혜택을 주는 한편 관계기관 협의체를 통한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신속 검토·승인 등을 통해 국내 무역항에서도 선박 대 선박(STS) 방식의 LNG 공급(벙커링)과 화물 하역 동시작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주관기관는 한국엘엔지벙커링, 공동참여기관는 에이치라인해운, 포스코(포스코플로우)이며, 선박료 50%(5000만 원 상한, 1항차) 및 항만시설 전용사용료 20%(1억 원 상한, 1년분) 감면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국내 유일의 LNG 벙커링 전용선 보유 사업자인 한국엘엔지벙커링를 ’항만 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실증‘ 사업자로 지정해(2023년 10월)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관계기관 협의체를 통한 자체안전관리계획서 신속 검토·승인 등 국내 무역항에서 STS 벙커링 동시작업 방식으로 LNG 벙커링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선박료 50%(5000만 원 상한, 1항차) 및 항만시설 전용사용료 20%(1억원 상한, 1년분) 감면한다.
박성현 사장은 “여수광양항은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 1위 항만이며, 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친환경 선박연료 수입·보관·공급 인프라도 충분히 구축돼 있다”며 “향후 국내 에너지기업,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우리나라가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국제해사기구의 2050년 탄소배출 ’넷제로(Net-zero) 목표에 따라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역량이 향후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핵심 요소로 부각될 전망이다”며 “이번 실증은 국제 선사들에게 우리 항만에서 LNG 선박 대 선박(STS) 공급과 하역 동시작업이 가능함을 알리고, LNG 공급(벙커링) 산업 발전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앞으로 부산항 등 국내 주요 항만에서 컨테이너선 등 다양한 선박에 LNG 공급(벙커링) 동시작업 실증이 이뤄질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넷제로(Net-zero)는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의 양을 같게 만들어 탄소의 순배출을 ’0‘으로 맞추는 것이며,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등 혜택 제공, 동시작업 표준작업절차·기준 개발(R&D) 등이다.
NSP통신 김성철 기자(kim7777@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