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사진 = 민병덕 의원실)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흔히 모바일 환경에 익숙치 않은 60대 이상 고령층이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던 보이스피싱 피해로부터 2030세대도 안전하지만은 않은 것으로 금융감독원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안양동안갑)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2030세대의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각각 92억 원, 53억 원이었던 것이 올해 9월까지 확인된 피해액만 이미 174억원, 128억원으로 급증해 합계액 기준으로 이미 작년의 두 배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의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2030세대의 피해가 1년 사이 많이 늘어난 것은 피싱 기술도 A.I 기술 발달에 따라 가족이나 지인의 목소리, 얼굴까지 복제해 이용하는 등 몇 년 사이 급격하게 고도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날로 심각해지는 보이스피싱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9월 국무조정실, 금융위원회, 경찰청,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감독원 등이 합동으로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를 개설해 한번의 신고로 사건처리와 피해구제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또한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후 신속한 처리에는 도움이 될지언정 선제적으로 피해 발생을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병덕 국회의원은 “지금은 통화 녹음 30초, 얼굴 영상 30초만 있으면 A.I가 특정인의 목소리와 외모를 완전히 복제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고도화된 상태”라며 “신속한 사후 처리만큼 중요한 것이 선제적·사전적 보이스피싱 예방인데 금융 당국이 정부, 통신사, 금융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종합적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NSP통신 김종식 기자(jsbio1@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