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NSP통신) 김성철 기자 = 광양 지역의 이슈는 단연 '포스코의 소통'이다. 포스코는 지난 1월 28일 지주사 체제 전환을 선언하고 포스코 그룹 전체의 전반적인 경영전략과 신규투자 등을 주도하는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본사를 서울로 결정했다.

그러나 포항시의 강력한 요구로 지난 2월 25일 포스코가 돌연 기존의 결정을 뒤집고 포스코홀딩스와 미래기술연구원의 본사 소재지를 모두 포항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포스코의 2021년 기준 광양제철소의 조강생산량은 2141만 톤(자동차 강판 823만 톤)이며, 포항제철소는 1685만 톤(자동차 강판 24만 톤)으로 광양의 조강생산량은 전체의 56%, 자동차강판은 97%로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양과 포항의 노력과 희생으로 영업이익은 포스코 전체 6조 6363억 원으로 매출액의 16.6%를 차지한다.

김평식 광양참여연대 상임대표는"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광양은 어떠한 협의나 의견제시 기회도 부여받지 못한 채 철저히 소외되고 무시됐다"며"이에 우리는 무엇을 꼭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보다 더 늦기 전에 무엇이든 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포스코의 지역상생협력을 촉구하고 나섰다"고 말했다.

이어"여기에 맞춰 부모와 자식에 대한 이야기로 설명하고자 한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의 크기는 늘 같다고 말한다"며"단지 그 모양이 다를 뿐이다. 하지만 포스코의 사랑의 크기는 한결같이 달랐다. 그 모양 또한 한결같았다. 광양과 포항의 노력 중 광양의 노력과 희생은 지금 소외현상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의 심화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늘 같은 사랑의 크기가 그립다"고 말했다.

이어"우리는 무슨 일이 생길 때마다 '소통의 부재'를 말한다. 소통이 곧 신뢰고 소통이 무너지면 신뢰도 무너진다. 우리는 소통의 부재가 가져온 결과는 경험에서 충분히 알고도 넘친다. 소통은 가정이나 기업, 국가가 되었건 너무 중차대한 문제다"고 강조했다.

또한"소통도 하나의 기술이라 정의하는 학자들이 늘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 우리가 그처럼 강조하는 상생과 협력도 대화와 타협을 통한 소통을 기반으로 가능해지는 법이다"며"관련 통계에 따르면 소통이 잘 되는 기업이 경쟁력에서 앞서고 그 경쟁력은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스코 역시 지금이 그 어느 때보다 소통의 기술과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고 밝혔다.

끝으로"우리는 그 소통의 시작인 '광양지역상생협력협의회'의 참여를 기다린다"고 말했다.

NSP통신 김성철 기자 kim7777@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