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숙 의원실)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총 7종 증 비중이 4.5%에 불과한 2종만 연구용으로 공급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정숙 국민의힘 국회의원(비례대표)은 7일 보건복지위 국정감사 자료에서 질병관리청이 감염 비중이 67.4%로 가장 많은 GH타입의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연구용으로 공급하지 않고 비중이 4.5%에 불과한 S타입(233건)과 L타입(30건) 2종만 연구용르ㅗ 공급했다고 비판했다.

서 의원은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하여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특히 우리나라의 감염 상황을 살펴보면, 지난 5월 이태원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고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분석을 통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공공기관 52, 교육기관 11, 의료기관 7, 민간 2)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은 지난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해외사례를 살펴보면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 주자인 우한생물학연구소는 BL-3 시설로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있고 현재 백신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 화이자 역시 BL-3 수준의 시험시설을 갖추고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발생이후 정부 연구과제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해 총 1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정부의 바이오 제약 산업 육성에는 충분치 않아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정숙 의원실)

한편 서 의원은 “정부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GH형의 분양은 절차를 밟느라 늦었고 S,L형은 긴급한 위기 상황이라 즉시 분양했다’고 입장을 밝혔는데 과연 2월에 비해 GH형이 유행하기 시작했던 5월이 덜 긴급한 상황이었는지 묻고 싶다”며 “정부가 코로나19 위기상황이라며 온 국민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데 정작 질병관리청은 절차적 문제를 논하며 늑장대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NSP통신 강은태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