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창숙 기자 = 포항시와 포항축협의 러시아 조사료 사업은 현지사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졸속으로 추진해 막대한 혈세낭비는 이미 예고됐다.

포항시는 지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포항축협 러시아 조사료 사업에 연차적으로 농기계. 소독시설 구입 명목으로 12억7천9백만원의 혈세를 지원했다.

포항축협도 28억4백만원에 달하는 조합예산을 투입해 시민혈세와 조합예산을 탕진한 셈이다.

그러나 포항시는 포항축협의 사업추진 상황만 믿고 수십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했다. 사업이 중단된 후 보조금 환수조치 과정도 포항축협 봐주기로 비쳐지고 있다.

포항시는 사업이 중단되자 최근 보조금관리규정에 따라 지원예산 12억9천9백만원중 기계·장비 1억원, 소독시설 1억6천4백만원 등 2억6천4백만원(21%, 도비 3천만원, 시비 2억3천4백만원)을 환수조치 했다.

포항축협이 반납한 환수금액에 대한 조합예산 추가 손실도 지적되고 있다.

포항축협 관계자는 별도의 보조금수입 통장으로 관리해 남은 예산으로 반납했다고 주장하지만, 12억여원의 포항시 보조금으로 조사료 기계 장비 등을 구입했다면 보조금 잔액이 발생할 수 없다는 분석이 가능해 포항축협의 주장은 어불성설이다.

이는 지난 2015년 사업실패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비판이 일 때 포항시가 현지 조사 등 적극 대응했다면 수십억원의 혈세낭비는 막을 수 있었다.

시민 A씨는 “지난 2015년 포항시와 포항축협의 해외조사료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면서 사업실패 우려가 도마에 올랐다”며 “포항시와 포항축협이 알면서도 방임한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포항축협의 해외조사료 사업은 포항축협이 러시아 연해주에 ‘포항아그로인베스트’라는 법인을 설립하고 추진했다.

이 사업의 발단은 2008년 당시 조합장 L씨가 현장을 방문하면서 시작됐다. 광활한 대지의 비옥함을 한 눈에 알아보고 조사료 사업의 성공을 확신했다고 전해지지만 40억원의 혈세와 조합예산을 낭비한 결과를 초래했다.

해외조사료 사업은 사업초기 포항축협의 자부담을 포함해 총 18억6천3백만원이 투입됐다. 현지사정을 이해 못한 졸속 추진으로 추가사업비 부담이 늘어났고, 결과적으로 포항축협은 22억2천만원의 추가사업비를 투입하면서 총 28억4백만원의 조합 예산만 날렸다.

사정이 이런데도 포항축협은 사업공개를 거부하고 비밀리에 사업을 추진해 손실액을 키웠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지난 2015년 해외조사료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여론이 거세지면서 조합원들의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그러나 포항시는 전형적인 탁상행정, 포항축협은 숨기기로 급급해 사태를 키운 것이다.

포항시의 해외조사료 사업 보조금 집행 과정도 석연찮다. 해외조사료 사업은 포항축협이 농기계 등 장비를 구입한 후 포항시에 사업비를 신청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포항시는 포항축협이 제출한 장비 구입금액을 검증 없이 전액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상 사업비를 집행하면 타 견적 등 비교 후 사업비를 결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포항축협은 농기계 명목으로 2012년 목초를 원통의 베일로 만드는 시각빅베일러(제조사 크라스, 3200RC, 3억4십9만원), 2013년 트렉트(제조사 뉴홀랜드, 225마력, 2억4천1백만원)를 비롯한 9건에 6억8천1백만원, 2014년 원형베일러(제조사 원인터네셔널, F5500, 3천1백만원)외 13건 4억1천6백만원 등 총13억9천8백만원 중 10억3백만원으로 보조금으로 신청했다.

또한 소독시설 구입비로 4억5천8백만원 중 시비 2억7천4백만원을 포항시에 요청해 전액 지급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시는 수십억원의 혈세를 지원하면서 포항축협의 사업과정 설명만 믿고 12억7천9백만원의 사업비를 집행했다.

이와 같이 포항축협 해외조사료 사업은 포항시와 포항축협의 안일한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 포항시는 포항축협의 해외조사료 사업의 문제점을 인식했지만 보완·개선하면 점차적으로 반입량을 늘리고 정상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낙관했다.

수시로 사업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실태파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포항축협의 해명에만 수동적으로 대응한 포항시의 안일한 행정 처리는 책임져야하는 대목이다.

NSP통신 김창숙 기자 s02260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