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본부가 추진하고 있는 월성원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인 맥스터 추가 건설에 25일 양남주민 700여명이 한수원 본사 앞 광장에서 결사반대 항의집회를 가지고 있다. (권민수 기자)

(경북=NSP통신) 권민수 기자 = 한국수력원자력본부(이하 한수원)가 추진하고 있는 월성원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인 맥스터 추가 건설계획에 25일 양남주민 700여명이 한수원 본사 앞 광장에서 결사반대 항의집회를 가졌다.

경주 월성원전은 이미 임시저장수조가 약 20년 전에 포화돼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상에 건식저장시설인 캐니스터와 맥스터를 건설해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고 있다.

이마저도 2019년에 포화가 예상됨에 따라 한수원은 조밀보관 가능한 맥스터를 추가로 건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남 주민들은 “월성원전의 캐니스터와 맥스터는 ‘중·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유치지역지원 특별법’에 중·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유치지역에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을 건설하지 못하게 한 법률을 위반하고 있다”며 “한수원은 말장난으로 경주시민들을 기만하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또 정부와 한수원이 방폐장 유치에 따른 정부의 약속 이행촉구를 위해 한수원 사장 면담요청과 정부의 향후 로드맵을 빠른 시일 내에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25일, 양남주민 한수원 맥스터 추가 건설 항의 집회 모습. (권민수 기자)

한편 정부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안’에 지난 1998년 원자력위원회가 원자력발전소 내 보관중인 사용 후 핵연료를 2016년까지 중간 저장시설을 지어서 옮기기로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한수원은 '월성원전의 캐니스터와 맥스터는 사용후핵연료 관련시설이 아닌 원전운영 관계시설이므로 법률위반이 아니다'고 주장하며 사용후핵연료 조밀 건식저장시설인 맥스터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이러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캐니스터와 맥스터가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인지, 월성원전 운영시설인지에 대해 명백하게 규정하고 설명한 것은 다름 아닌 한수원 본사이다.

한수원 홈페이지에서 지난 2016년 11월 4일 20시 26분 39초에 ‘핵연료물질 저장시설과 맥스터의 차이점’에 대한 질의 답변에서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임을 명확히 하고있다.

한수원은 “월성원전에서 규제기관의 인허가를 받아 콘크리트 사일로(캐니스터)와 조밀건식저장시설(맥스터)를 원전부지 내에 운영하고 있으며 건식저장시설은 사용후핵연료의 열을 공기를 이용해 냉각시키고 콘크리트와 금속을 이용해 방사선을 차폐하는 저장방식이다”고 설명했다.

이어“캐니스터와 맥스터의 설계개념은 같지만 조밀건식저장시설(맥스터)의 소요 면적이 캐니스터의 약 1/3 수준이다”고 자세한 내용을 담았다.

이에 견주어 캐니스터와 맥스터는 사용후핵연료를 공기를 이용해 열을 냉각시키고 저장하는 시설임이 명확하고 수명이 약50년임을 감안하면 임시저장시설이라는 한수원의 논리는 적합치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양남주민들이 항의 피켓을 들고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권민수 기자)

원전가동을 통해 필수 생산되는 사용후핵연료다발은 사람이 1m거리에서 7.5분간 마주하면 30일 이내 100%사망하는 매우 위험한 물질로 사용후핵연료 최종처분시설을 운영 중인 국가는 전 세계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 경주시는 산업부와 한수원이 사용후핵연료를 현실성 있게 경주시 밖으로 반출할 구체적인 계획이 없어 경주에 사용후핵연료를 계속 쌓아둘 수밖에 없는 실정에 처해 원전주변 주민들은 물론 경주시민들까지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첫 국정감사에서 산자중기위 권칠승 의원(화성시, 병)은 “사용후핵연료는 고농도의 방사성물질을 배출해 약 100만년 동안 인간세계와 격리시켜야 한다”며 “정부는 그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과 최종처분시설 건설을 위한 적합한 부지조차 선정하지 못하고 있고 부적합 부지에 대한 선별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경주시는 산업부와 한수원의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무대책으로 고위험 물질인 사용후핵연료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며 ”특히 산업부와 한수원은 특별법을 위반하면서 까지 경주시에 사용후핵연료를 쌓아두는 것을 중지하고 근본적 해결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NSP통신/NSP TV 권민수 기자, kwun5104@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