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국회의원의 2016년 국정감사 모습. (김진표 의원실)

(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중장기 군복무를 하다 제대하는 군인들의 절반 이상이 실업상태인 것으로 확인 돼 이에 대한 군 복무 기간 중 전직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국방부와 한국국방연구원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마다 6500명 내외의 중장기 복무자가 전역하고 있으나 전역 후 취업률은 지난해 말 기준 54.3%에 불과해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2명 중 1명은 실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 20대 국정전략 중 하나인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을 위해 우수한 군인적자원 확보가 확실히 뒷받침돼야 한다”며 “제대 후 장래에 대한 보장과 안정은 현역 군인들 뿐만 아니라 앞으로 우수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군 조직의 특성상 사회적으로 가장 왕성한 시기인 30대 초반에서 40대 후반에 원치 않는 전역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며 “제대군인 대부분이 취학아동의 학부모이거나 대학생 자녀를 둔 가장으로 제대 후 재취업은 곧 가족의 생계와 직결되는 만큼 전직 지원체계를 선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실제로 주요 선진국들의 전역 후 취업률을 살펴보면 미국 95%, 독일 93.4%, 프랑스 92% 등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표 의원은 “군 복무와 동시에 전직 계획을 수립하도록 해 군 복무 기간 중에는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고 군 복무 말기에는 직업교육과 취직 과정 지원 등 생애주기 전직 지원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군 직무능력 향상과 개인의 전문성 강화 결합이 필요하다”며 “군 특기교육에 민간의 전문자격 취득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반영하면 군은 전문기술자를 양성해 활용하고 개인은 전문기술을 획득해 전역을 준비할 수 있는 win-win 전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미국은 전직지원 프로그램(TAPTransition Assistant Program)을 통해 최초 자대배치 후 개인개발계획서를 작성하고 이후 전 복무기간에 걸친 전직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군인 전문교육과정 편성 시 군사분야와 전문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동시에 고려해 편성하고 있는데 군 직무와 연관된 민간자격증 교육을 이수하기 때문에 새로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에 비해 시간적·경제적으로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김 의원은 “최소 전역 1년 전에는 장기복무 선발을 완료하도록 장기복무 선발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전역 대상자가 기본 업무와 함께 본격적으로 전직 준비를 병행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을 제도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NSP통신/NSP TV 김종식 기자, jsbio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