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식 전남대 교수 (전남대)

(광주=NSP통신 김용재 기자) = 전남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최흥식 교수와 김돈규 박사 연구팀이 당뇨병과 대사질환의 원인이 되는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찾아내 그 조절기작을 규명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인슐린 저항성은 식후 췌장 베타세포에서 분비된 대사호르몬인 인슐린이 근육 및 말초조직으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거나 간에서 포도당 생성을 억제해 혈당을 조절하는데 이러한 인슐린 작용이 정상보다 저하된 대사상태를 말한다.

식후에 췌장세포에서 분비된 인슐린은 근육이나 말초조직으로의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거나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해 체내 혈당을 조절한다.

인슐린의 기능부실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게 유지되면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돼 제2형 당뇨병 등 대사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핵심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인슐린이 간 세포의 핵 안에서 포도당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이알알감마)의 인산화를 유도, 핵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간에서의 포도당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아냈다.

실제 정상 쥐에 인산화 되지 않는 돌연변이 이알알감마가 만들어지도록 하자 혈당이 높게 유지됐고, 인슐린을 주입해도 혈당이 떨어지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났다.

이 과정이 잘못돼 간에서 지속적으로 포도당이 만들어지면 혈당증가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되고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의 포도당 생성을 촉진하는 핵심 전사조절 인자인 ERRγ의 비정상적인 전사활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인슐린 저항성 관련 대사 질환의 경우, ERRγ의 전사활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이 인슐린 저항성 및 그와 관련된 대사질환을 개선하는 신약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흥식 교수가 주도하고 김돈규 박사가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연구)의 하나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내분비학 및 대사 분야 국제학술지 ‘다이아베톨로지아(Diabetologia)지’ 온라인판 지난 9월10일자에 게재됐다.

이 학술지는 오는 11월에 발행될 예정인 프린트판에서 해당 논문과 연구결과의 중요성에 대한 권위자의 논평(commentary)을 함께 게재할 예정이다.

최흥식 교수는 “이알알감마의 전사활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이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연구 결과가 인슐린 저항성 개선방식의 당뇨병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nsp2549@nspna.com, 김용재 기자(NSP통신)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