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5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2025년 본예산(안) 편성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 경기도)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도가 38조 7081억원 규모의 내년도 본예산을 편성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36조1210억원) 보다 7.2%가 늘어난 규모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5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경기도 내년도 본예산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 “담대한 확장 재정…휴머노믹스의 길을 가겠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도는 일반회계 34조7260억원, 특별회계 3조9821억원 등 총 38조 7081억원의 규모로 편성해 4일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김 지사는 “올해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지난 2분기 마이너스 성장(-0.2%)에 이어 3분기에는 0.1%에 그쳤다”라며 “민생에는 빨간불이 켜졌고 민간 소비와 투자는 감소하고 가계부채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김 지사는 “지금은 확장 재정이 답이다. 경기도는 가용 재원을 최대한 활용해 내년 예산을 7.2% 더 키웠다”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도정의 중심도, 예산의 목표도 사람 중심, ‘휴머노믹스’이다.

김 지사는 “휴머노믹스 예산은 양적 성장이 아닌 사람 중심 성장에 투자해야 한다면서 물질적 풍요를 넘어 삶의 질, 지속 가능한 성장에 투자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의 내년도 경기도 예산의 세 가지 키워드는 기회, 책임통합이다”라고 밝혔다.

도는 기회 예산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되찾고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동시에 중산층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또 경제 활력을 되살리기 위해 정부가 3.6% 감액 편성한 SOC 예산에 2조8000억원을 투자한다.

지방채 발행으로 확보한 4962억원은 도로, 하천, 철도 등 지역 SOC 개발에 전액 사용된다. 또한 반도체, AI 등 첨단 신성장 산업과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예산 투자 역시 2배 이상 늘리고 기후 위기, 기후 위성 발사, 기후 펀드와 기후 행동 기회 소득 등 기후 대응에 선도하기 위한 기후 예산은 전년 대비 1216억원으로 증액했다.

도는 청년 기회에 2384억원 투자하며 베이비붐 세대 세대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일자리 예산도 늘린다.

특히 도가 민생을 돌보며 격차를 해소하는 책임 예산은 정부를 대신해 내년 지역화폐 발행에 1043억원을 편성하는 등 총 3조5000 억원을 발행한다. The 경기패스, 버스 공공관리제 등 교통 예산에 모두 7000억원, 농수산물 할인쿠폰 지원 200억원, 경제 살리기 ‘통큰세일’에 50억원을 민생예산에 편성했다.

또한 자금 융통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해 전국 최초로 최대 500만원 한도의 ‘운영비 전용 카드’를 지원하며 돌봄의 새로운 틀을 만드는 ‘360도 돌봄’을 한층 강화하며 전국 최초로 ‘간병 SOS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이와 함께 도는 사람에 투자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주 4.5일제’ 시범 사업과 ‘0.5 & 0.75’ 잡 프로젝트를 시범 실시하며 직업교육에도 336억원이 투입된다.

통합예산은 역사와 인권을 바로 세우고 지역 균형발전으로 국민과 사회통합을 이루는 예산이다.

도는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참전 명예 수당 50% 증액하며 나라에 헌신한 유공자와 가족분들을 제대로 예우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도는 이주노동자와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통합 예산을 34.8% 증액하고 외국인 인권 지원제 선과 외국인 자녀 보육 지원 예산을 2배 이상 확대했다.

경기 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에는 가평, 연천 등 경기 북부 6개 시군 지역에 525억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도로, 하천을 비롯한 경기 북부 교통인프라 확충에 2018억원을 선제적으로 투자한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가 사람 중심 경제 ‘휴머노믹스’로 우리의 위기 극복 DNA를 다시 살려내겠다”면서 “내년도 기회, 책임, 통합예산을 통해 경제 활력을 불어넣고 민생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 격차, 교육격차, 기후 격차, 지역 격차를 해소하겠다.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고 국민통합의 길을 걷겠다”면서 “경기도가 대한민국의 질 높은 성장을 이끌고 우리 국민의 미래를 바꾸겠다”고 피력했다.

NSP통신 김병관 기자(inspect1234k@nspna.com)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